본문 바로가기
역사

신라의 골품제도, '성골과 진골(聖骨과 眞骨)'

by $#%%#$ 2024. 2. 13.

신라의 골품제도, 성골과 진골의 이해

개요

신라 사회의 중요한 신분제도인 '골품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성골'과 '진골'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고대 신라 사회의 이해를 위해 이 두 신분의 차이와 의미에 대해 함께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라의 골품제도는 성골과 진골이라는 두 개의 왕족 신분과 6두품·5두품·4두품 세 개의 귀족 두품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성골과 진골은 왕족 중에서도 더욱 높은 신분을 가진 세 성씨(김씨, 박씨, 석씨) 왕족을 의미했습니다.

왕족 중의 왕족

성골은 왕족 중에서도 왕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최고의 신분이었으나, 진덕여왕을 끝으로 소멸되어 김춘추 이후 부터 진골 출신이 왕위를 어어나갔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같은 왕족인 성골과 진골이 왜 구별되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제시되어 왔는데, 가장 대표적인 설은 내물왕 이후 신라왕실의 혈연 집단이 점차 분화되어 왕실 내의 여러 가계가 각기 독립적인 경향을 띠게 되는 과정에서, 진평왕 때 왕실의 소가족 집단이 나머지 왕실 혈족 집단의 구성원과 구별하기 위해 진골보다 더 상위의 신분계급인 성골을 주장하게 된 것이라는 견해입니다.

맺음말

이처럼 신라의 골품제도는 단순한 신분제도를 넘어, 왕족의 권력 동향과 왕위 계승 문제 등을 통해 신라 사회의 복잡한 내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대 신라의 성골과 진골이 현재의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우리가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우리는 자신들이 살아가는 사회와 그 역사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유사(三國遺事)
  • 당서(唐書)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上)
  • 신라(新羅)의 성골(聖骨)(김기흥, 『역사학보(歷史學報)164, 1999)
  • 신라 상대(新羅 上代)의 왕위계승(王位繼承)과 성골(聖骨)(서의식,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86, 1994)
  • 신라시대(新羅時代)의 골품제(骨品制)(최재석, 동방학지(東方學志)53, 1986)

신라 골품별 올라갈 수 있는 관등과 입을 수 있는 공복, 우리역사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