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11

조선시대 과학자 장영실 조선 초기 대표 과학자 장영실 소개 조선 세종대의 과학자로 이름을 드높인 장영실(1390년경 ~?)은 시대를 훨씬 앞서가는 천재였습니다. 그는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어내는 등 당시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으며, 그의 재능은 "과학을 위해 태어난 인물"이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장영실의 출생 장영실은 동래현의 관노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온 귀화인으로, 비록 장영실의 신분은 어머니를 따라 노비였지만, 그의 뛰어난 재능은 곧 조정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태종이 그의 재능을 인정하고 발탁한 후, 세종이 즉위하자 장영실을 명나라로 유학 보내 천문관측시설 관련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장영실은 자격루를 비롯한 여러 천문기구를 제작하였습니다. 노비 신분에서 해.. 2024. 2. 2.
조선 호조판서(戶曹判書) 조선시대 관직, 호조판서의 역할과 변천 개요 조선시대에는 여러 관직들이 존재하였는데, 그중에서도 '호조판서'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호조판서는 조선시대 6판서 중 하나로, 호조의 최고 관직인 정이품(正二品)에 속하였습니다. 이 관직에는 1명의 관원이 배치되었으며, 그 아래로는 호조참판, 호조참의, 호조정랑, 호조좌랑 등이 있었습니다. 호조판서의 역할과 변천 호조(戶曹)는 중앙 행정 기구인 세조(世曹) 중 하나로, 인구와 토지, 그리고 재산에 대한 사항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호조는 인구 조사, 토지 조사, 세금 징수, 공사 노동력 동원 등을 담당했으며, 이를 통해 국가의 재정을 관리하고 국가의 기반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 인구 관리: 호조는 인구조사를 통해 국민의 수를 .. 2024. 2. 2.
고려 무신정변(武臣政變), 원인과 결과 고려시대 무신정변의 원인과 결과 개요 1170년 고려 의종 때 무신들에 의해 일어난 무신정변은 고려의 정치적 풍경을 크게 바꾸었습니다. 이 정변은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등으로 이미 동요하고 있던 고려 문벌귀족사회를 완전히 붕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원인 무신정변의 원인은 고려 귀족사회의 모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귀족들이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실권을 독점하는 가운데, 이를 둘러싼 지배층 내부의 항쟁은 사회를 동요시켰습니다. 문벌귀족들은 왕권과 결탁하여 지방향리출신의 신진관료를 제약하였고, 이는 무반에 대한 차별로 이어졌습니다. 고려의 문·무반은 법제적으로는 동등한 대우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문반만이 귀족이 되어 정치권력을 독점하였습니다. 반면 무반은 귀족정권을 보호하는 호위병의 지위에 머물렀고.. 2024. 2. 2.